직딩영별

PDF파일 개별 다운로드하기 (외부 프로그램 없이!)
여러 장을 포함한 PDF 파일을 개별로 나누어 편집하고 다운로드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에 그냥 아무 외부 프로그램도 안 쓰고 마소 엣지로 하셔도 되고(과정은 똑같습니다.), 이 글은 기본 인터넷으로 많이들 사용하는 크롬 을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편집하셨던 분이시라면, 기존보다 절차가 많이 생략되니 꼭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1. 크롬으로 PDF 열기. (엣지도 가능.) 저는 아무거나 예시로 썼다가 겪을 혹시 모를 저작권 분쟁을 피하기 위해 제 이전 글을 워드로 복사해서 PDF로 저장하였습니다. 저는 이제 크롬도 무지 무거워져서 엣지를 주로 이용하는 것 같지만, 어쨌든 PDF 파일을 크롬으로 열게 설정하신 분이라면 그냥 실행을 하면 되고, 그렇지 않은 분은 파일을 폴더에서 ..

워드 색인 생성, 추가, 업데이트
색인(INDEX)이란, 책이나 문서의 끝 부분에서 그간 나왔던 중요 단어들을 모아 놓고 그 단어가 등장했던 쪽 수를 일러주는 편의성 페이지 또는 표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특정한 단어와 관련된 내용을 빠르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는 워드에만 해당하는 단어가 아니고, 일반적인 책에서도 쓰고,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사용하는 겁니다. 우선 설명을 위해 제 블로그 내의 글을 긁어 왔습니다. 1. 색인 항목 추가하기. 먼저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단어를 선정해야겠죠. 저는 불러온 글의 주제인 ''목차"를 색인에 넣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어느 페이지의 어느 위치든 일단 해당 단어를 찾아서 [드래그]를 하여 블록을 씌워줍니다. 그 뒤 워드 프로그램의 상단에서 [참조] 탭을 누르고 [항목 표시]를 선택합니다..

열대 저기압이란? 열대 저기압의 생성, 이동, 소멸 과정
열대 저기압이란, 저위도 바다의 습하고 따뜻한 공기가 열과 수증기를 머금고 상승하고, 이어서 수증기가 기온이 낮아지며 응결되어 에너지가 방출되는 강력한 상승 기류를 만드는 기압입니다. 종종 자연 재해 급으로 발전하며, 이는 온대 저기압과 함께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가장 대표적인 두 저기압 중의 하나입니다. 발생 지역마다 이름이 다른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태풍'이라고 부르는 그것입니다. 다른 지역의 다른 이름으로는 허리케인(주로 미국 동부 연안)과 사이클론(인도양, 남태평양) 등이 있습니다. 열대 저기압(태풍)의 생성 열대 저기압은 위도가 10도 내외인 저위도의 26~27도 이상의 따뜻한 바다에서 시작됩니다(저위도라고는 하지만, 적도 부근에서는 전향력이 부족하여 회오리가 만들어지기 어려우므로 태풍이 ..

온대 저기압이란? 생성과 소멸 과정
온대 저기압(온대성 저기압)은 중위도 저기압이라고도 부르며, 중위도 및 고위도에서 발생합니다. 전선이 없는 열대 저기압과는 다르게, 온난 전선과 한랭 전선을 끼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편서풍대의 저기압입니다. 차가운 기단이 북쪽에서 날아오고, 따뜻한 기단이 남쪽에서 날아와 만나면 이 온대 저기압이 발생합니다. 우리나라는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이 영향을 받으므로 알아서 나쁠 게 없습니다. 온대 저기압의 생성과 발달 온대 저기압은 위도 60도에서 생성을 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저위도(남쪽)에서 따뜻한 공기가 올라오고 고위도(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옵니다. 그렇게 두 공기가 만나 전선을 형성합니다. 그 경계면은 평행하기 기다란 형태를 띠게 되며, 그렇게 생긴 전선은 처음엔 정체가 되어 서로 ..

"더위가 그치는 날." 처서의 의미, 하는 일, 먹는 음식, 속담 등!
처서는 곳 처(處) 자와 더위 서(暑) 자가 결합해 '더위가 멈춤 / 더위가 그침'을 뜻하는 단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때부터 사용한 24절기 중의 하나로, 입추 다음의 절기입니다. 여름이 끝자락에 이르고 슬슬 가을에 접어드는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후덥지근한 계절이 끝이 나고 슬슬 시원하고 선선한 가을이 온다는 의미의 절기입니다. 다만, 처서에 접어들었다고 급격하게 기온이 변하는 것도 물론 아니고, 거기다 온난화로 한창 시끄러운 요즘은 처서라고 해서 몇몇 지역에서는 딱히 "여름이 지나갔다"라고는 할 수 없긴 합니다... 따라서 가만있어도 불쾌감이 생길 정도의 더위는, 대강 잡으면 8월 말 즈음에 완전히 끝이 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불쾌감이 생기는 더위는 사라지지 않아도, 열대야가 수그러..